Policy and Advocacy 정책과 애드보커시

원조를 넘어 연대로 (2025)

대안적국제개발시민사회네트워크(KOSODA). 원조를 넘어 연대로: 제4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2026-2030) 3대 정책제안. KOSODA. 2025. 다운로드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는 듯 하다. 온 세계가 보는 앞에서 전쟁과 학살이 벌어지고, 힘겹게 쌓아 올린 민주주의와 인권이 흔들리고, 불평등은 좁혀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기후변화는 이 모든 위기와 갈등을 심화하는데, 그 피해 마저도 가장 취약한 이들에게, 불평등하게 돌아간다. 위기의 최전선인 지구촌 남반구에서는 더 많은 연대와 “선진국”의 책임감 있는 대응을 외치고 있지만, “선진국”은 자국과 자본의 이익을 추구하는데 열심이다. 지난 …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평가 및 제안 (2024)

한재광, 김향지, 우승훈, 이정현, 황희아, 심여은, 곽채경. ‘사람이 꽃피는 발전’의 눈으로 바라본: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평가 및 제안 보고서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평가, 제4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제안). 발전대안 피다. 2024. 다운로드 제4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을 위한 발전대안 피다의 정책제안 첫째, 정부는 향후 국제개발협력 정책이 지향하는 가치를 설정함에 있어 기후위기, 보건 위기, 불평등 심화, 인도적 위기 등 복합적 글로벌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국제사회에서 합의된 보편적인 가치를 더욱 우선으로 고려해야 함. 둘째, 제3차 국제개발협력 …

모금의 안과 밖, 그리고 사이 (2024)

한재광, 김향지, 우승훈. 모금의 안과 밖, 그리고 사이: 한국 국제개발협력 NGO의 TV 모금 캠페인 연구. 발전대안 피다. 2024. 다운로드 시민사회단체는 모금 캠페인을 통해 자원을 모으고 시민과 소통한다. 이들 단체가 내보내는 메시지는 시민사회가 연대하고자 하는 다양한 주체들 그리고 시민사회단체의 역할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모금 캠페인은 단체 운영을 위한 자금 조달의 수단일 뿐 아니라 시민 인식 변화를 위한 활동이자 현장이다. 주로 국외의 시민들을 조력하는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도 모금 캠페인은 …

국내 아프리카 유학생 지원 강화 방안 (2024)

아프리카인사이트.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계기 시민사회 정책제안서: 국내 아프리카 유학생 지원 강화 방안. 아프리카인사이트. 2024. 다운로드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는 정체된 한국과 아프리카의 관계를 재정의할 기회이며, 회의 슬로건인 “함께 만드는 미래”를 위해선 한국과 아프리카의 시민들이 더 많이 연결되어야 한다. 하지만 국내 체류 외국인 중 아프리카 출신의 비율은 1%에 불과하다. 이는 정체된 한국-아프리카 관게의 결과이자 원인으로, 향후 한국과 아프리카 관계 심화를 위해선 이를 주도하고 지지하며 실행할 사람이 많아지고, 또 다양해져야 한다. 세계 …

함께 걷는 자립의 길 (2020)

우승훈, 정민주, 현정훈, TWAGIRAYEZU Aimable. 함께 걷는 자립의 길: 냐루바카 공동체 자립사업 6년의 이야기 (2015~2020년). 지구촌나눔운동. 2020. 다운로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두 단계에 거쳐 진행된 냐루바카 공동체 지원사업은 마을 단위로 형성된 주민조직을 다양한 방면에서 지원하여 참여자들이 서로 돕고 자립의 기반을 닦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와 동료들은 이 사업을 통해 냐루바카 사람들이 각자 가진 꿈과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길 바랐고, 사람들은 놀라운 방식으로 우리에게 화답했다. 냐루바카 사람들은 …

국제개발협력 계속해보겠습니다 (2020)

우승훈, 김나리, 박은정, 이인애, 차홍선. 국제개발협력 계속해보겠습니다: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 2030 활동가의 활동 실태와 지속가능성 연구. 국개협UP. 2020. 다운로드 본 연구는 20~30대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활동실태와 이들의 활동이 지속 가능하도록 하는 요인을 다면적으로 조사하고, 건강한 분야 생태계 조성을 위한 활동가 연대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에서 1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20~30대 전·현직 활동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 170명의 응답을 수집했고, 응답 결과의 심도있는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 …
Scroll to Top